많은 분들이 읽은 글
-
정명석 그를 본 사람들
회상 1 [한 편의 큰 가르침]
한 편의 큰 가르침 회상 (1) 걷다 보니 생각지도 않게 소나무가 우거진 산책로로 접어들었다. 새해 벽두라 산책하는 사람들이 없으니 조용해서 더욱 좋다. 월명동은 어디를 가 보아도 아름답고 환상적이다. 그중에 산책로는 날마다 다녀도 새롭고 신선하다. 도시에서는 마실 수 없는 맑은 공기, 적당한 높이와 잘 가꾸어진 소나무 숲 사잇길을 걸으며 아름다운 새소리를 들으면, 매연으로 가득 찾던 가슴이 시원해지고 복잡한 세상사까지 다 잊혀지고 머리가 맑아진다. 선생님(기독교복음선교회 정명석 목사)께서 월명동을 개발하러 이곳에 내려오셨을 때'왜 시골 오지에 개발을 하려고 할까? 대기업 본사나 큰 단체들은 본부를 다 서울에 두고 있고, 수련원도 교통이 좋고 물도 있고 경치 좋은 곳에 개발하는데 우리는 왜..
-
정명석목사는
정명석 목사가 걸어온 길
정명석 목사는 기독교복음선교회의 총회장이며, 충청남도 금산군에 소재한 월명동 수련원의 창립자, 시인이기도 하다. 시인으로서는 1995년 월간 《문예사조》로 등단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구원의 말씀》 1~3, 설교집 《생명의 말씀》 《성약의 새말씀》1~24집, 잠언집 《하늘말 내말/지혜의 잠언》 1~11집, 《영감의 시》 1~5집 등이 있으며 한국 시문학 100년사를 망라한 《한국시 대사전》(2011)에 그의 시 10편이 등재되었다. (관련글 : 정명석 시인은 누구인가?) 또한 《지촌미술제》, 《도화개인전》, 《아시아청년국제교류전》 등 국내 및 국외(영국, 프랑스, 독일, 아르헨티나 등)에서 그림과 서예 작품 다수를 전시했고, 국제문화예술평화협회(GACP)의 총재로서 평화를 위한 예술, 스포츠 등의 활..
-
언론보도자료
[JMS 기사] JMS "동영상 성상납 증거 못 돼"
[JMS 기사] JMS "동영상 성상납 증거 못 돼" "동영상은 회원 개인이 제작, 정명석과 무관"…"총재와 성관계 맺은 여성 조직 없다" '나체 동영상' 공개와 탈퇴자들의 양심선언으로 파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 기독교복음선교회(일명 JMS)가 해명에 나섰다.(관련 기사 : '나체 동영상' 파문으로 다시 주목받는 JMS) 탈퇴자들이 기자회견을 개최한 3월 28일 기자회견장에 신도들이 나타나 해명 자료를 돌렸다. 다음날 JMS 언론 관련 관계자가 와 만나 그들의 입장을 상세하게 해명했다. 그는 자신의 해명을 녹음한 뒤, 내부 검토를 거쳐 로 보내왔다. 세 번에 걸친 JMS 측의 해명은 일관됐다. 주요 내용은 △탈퇴한 김진호 씨가 허위 사실을 유포하고 있으며 △동영상은 여성 신도들이 개인적으로 촬영한 것이지 ..
-
정명석 그를 본 사람들
대화 (2) [한 편의 큰 가르침]
한 편의 큰 가르침 대화 (2) "아닙니다. 제가 이곳에 왔을 때 여기 있는 사람들이 열심히 기도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하나님께 감사하고, 방문한 사람들에게는 친절하게 진심으로 대해 줬습니다. 처음에는 그러려니 했는데 두 번째도 그랬고, 오늘이 세 번째인데 오늘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저는 깊게 생각해 봤습니다. 제가 전한 말씀을 들은 사람들이 여기 있는 사람들처럼 열심히 기도하고, 하나님을 믿고 사람들에게 늘 기쁜 마음으로 대하고 있을까? 진지하게 생각해 봤습니다. 하나님을 잘못 믿고 있다고 생각했던 여기 사람들이 이처럼 하나님을 열심히 믿는 것을 보니 충격이었습니다. 목회를 오랜 세월 했지만 내가 말씀을 전한 사람들이 이렇게 하나님께 감사하면서 살고 있을까? 생각해보니 저는 자신이 없습니다." ..
-
정명석 그를 본 사람들
인생길 [한 편의 큰 가르침]
한 편의 큰 가르침 인생길 가을이 깊어가던 날이었다. 선생님(정명석 목사)과 함께 메뚜기가 뛰어 노는 논두렁을 지나, 감이 빨갛게 익은 길을 걸어가고 있었다. 오랜만에 한가하게 나들이를 한 터라 담소를 나누며 시골길을 걷는 발걸음은 가벼웠다. 우리가 가려던 원래 길은 잡초가 우거져 있어서, 사람들은 가을걷이가 끝난 밭으로 다니고 있었다. 우리도 콩을 막 수확한, 넓은 밭으로 지나가는 중이었다. 별생각 없이 밭으로 걷고 있었는데, 선생님께서 "이것 좀 봐라 저기 길이 있는데 우리는 남의 밭으로 걸어가고 있다. 사람들은 저 길로 가야 하는데 풀이 있다고 길로 다니지 않고 밭으로 다니고 있다. 너희들은 이것을 보고 깨달은 것이 없느냐?" 생각 없이 걸어가던 우리들은 선생님의 질문에 누구도 대답할..
-
정명석목사는
JMS 정명석 선생은 누구인가?
[정명석 선생 소개] 정명석 선생은 누구인가? 글 : JMS 정명석 선생 기독교복음선교회(세칭jms) 정명석 선생은 누구인가? 저(JMS 정명석 선생)는 10대 초반부터 생각했습니다. 인생은 왜 태어났지? 왜 먹어야 되지? 왜 나(JMS 정명석 선생)는 여기 산골짝을 못 벗어나고 살아야 되지? 다른 사람들은 처음부터 좋은 도시에서 태어나 뱀과 엉겅퀴가 있는 무서운 잡초 숲의 환경에서 살지 않고 아예 풀도 없고 뱀도 없는 곳에서 먹을 것을 산같이 쌓아 놓고 시장에서 마음대로 사 먹으면서 사는데, 왜 나(JMS 정명석 선생)는 뒷산에 등 기대고 앞산에 발을 쭉 뻗으면 닿을 정도로 좁고 답답한 곳에서 태어나 살아야 되지?’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면 이곳 내 고향을 떠나야 된다.’ 결심했습..
-
정명석 그를 본 사람들
목련 나무 [한 편의 큰 가르침]
한 편의 큰 가르침 목련 나무 선생님(정명석 목사)께서 월남전에 참전하고 오신 뒤, 한참 전도에 열중하실 때의 일이다. 하루는 어린아이 팔뚝만한 목련 나무 한 그루를 가져 오셔서 마당 한 켠에 심으셨다. 마전 요강리라는 동네에서 말씀을 전해 주었더니 주인이 고맙다며 준 것이라고 하셨다. 몇 년 뒤, 그 나무는 풍성한 목련 꽃을 피워 내며 아름다운 자태를 뽐냈다. 십 수 년의 세월이 흘러 월명동이 개발되면서 운동장을 넓히다 보니, 어느 새 그 목련 나무가 커서 아름드리 나무가 되어 있었다. 선생님께서 직접 선물로 받아 오셔서 심은 나무라 그냥 베어 버릴 수가 없었다. 그것 캐다가 다른 데 심어도 죽으니까 그냥 놔 둬 그래서 선생님께 목련 나무를 옮겨 심어야겠다고 말씀드렸더니 "..
-
정명석 그를 본 사람들
하나님의 작품이 귀하다 [한 편의 큰 가르침]
한 편의 큰 가르침 하나님의 작품이 귀하다 1993년 당시 나의 꿈은 월명동에 선생님(정명석 목사)의 사상과 철학이 담겨 있는 박물관을 짓는 것이었다. 월명동 작업을 하면서도 '어떻게 하면 박물관을 지을 수 있을까? 하는 간절한 소망이 늘 머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그래서 도자기나 그림에 관심을 두며 진품을 알아 볼 수 있도록 틈틈이 공부했다. 한번은 견문을 넓히기 위해 중국에 가게 되었다.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고 했던가! 그곳에서 많은 그림과 도자기를 소장하고 있는 사람을 만났다. 그 사람에게 선생님의 사상을 증거하면서 언젠가 꼭 박물관을 짓고 싶다고 말했다. 그랬더니 놀랍게도 귀한 도자기 하나를 나에게 선물로 주는 것이 아닌가. 귀국하자마자 얼른 그 도자기를 선생님께 보여드리고 싶었다. 하..